반도체 장비 시설 운영 Part 1.
(5) 공조기 자동제어
자동제어 개요
1. 자동제어 구성 기초 요소
1) 시퀀스 제어 (sequence control)
• 제어동작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
• 수관식 보일러의 연소안전장치 (프리퍼지, 연료 및 공기 공급, 착화, 연소)등과 같이 출력과 무관하게
진행 장비를 작동 시킬 때 장비특성에 알맞도록 짜여지는 작동 프로그램
2) 피드백 제어 (feedback control)
• 되돌림 제어라고 하며 출력값을 입력값과 비교하여 출력값을 설정한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제어
• 정해진 목표값을 유지하도록 입력값과 출력값을 계속 비교하여 조작량을 제어대상에 보내는 것 (온도, 압력, 수위, 제어 등)
• 폐쇄 루프 제어(Closed Loop Control)라고 함
3) 제어동작에 의한 분류
2. 공조기 자동제어 개념
1) 공조기 자동제어
• 공조기
- 다양한 내부 구성 성분들에 의해 특정한 공간의 온도, 습도, 공기흐름을 항상 원하는 환경으로 유지
• 자동제어를 통해 이런 환경을 지속시키는 방법
• 시스템 구성방법, 덕트방식, 열매체 종류 등에 따라 시스템 구성도가 다양하게 존재
3. 공조기 자동제어 시스템
1) 공조기 자동제어 시스템 방식
4. 공조기 공조방식 종류
•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(CAV, Constant Air Volume)
- 1개의 덕트로 급기 풍량을 일정하게 하고 부하 변화에 대하여 급기 온도를 변경하여 제어하는 방식
• 단일덕트 변풍량 방식(VAV, Variable Air Volume)
- 1개의 덕트로 급기 온도를 일정하게 하고 부하 변화에 대하여 급기 풍량을 변화하여 제어하는 방식
• 이중덕트 방식
- 냉풍과 온풍 2계통의 덕트를 별도로 설치하여 말단의 혼합 상자에 서 냉풍, 온풍을 혼합하여
각 존별로 요구하는 온도, 습도에 맞추 어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방식
• 전공기 방식
- 실내에 열을 공급하는 매체로 공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외기와 실내환기를 혼합하여
공조기 내에서 냉풍 또는 온풍을 만들어 실 내로 공급하는 방식
• 수공기 방식
- 열의 매체로 물과 공기를 병용하는 열원장치로부터 냉수, 온수 또는 증기를 이용하여 냉풍과 온풍을 공급하는 방식
• 전수 방식
- 물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가열, 냉각하는 방식
• 냉매 방식
- 냉매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가열, 냉각하는 방식
• 중앙집중관리식
- 모든 제어 공간에 대한 온도, 습도 등을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
• 지역분산관리식
- 분리된 제어공간별로 독립적으로 온도, 습도 등을 제어하는 방식
자동제어 프로세스
1. 자동제어 시스템 구성도
• 일반 클린룸 제어용,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, 전공기 방식, 중앙집중관리 방식,
DDC방식의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공조기
2. 자동제어 용어 설명
1) 급기 (SA, Supplied Air)
- 공조기가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
2) 환기(RA, Returned Air)
- 실내에서 공조기로 환원되는 공기
3) 배기(EA, Exhausted Air)
- 공조기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 공기
4) 외기(OA, Outer Air)
- 공조기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
5) 스팀 공급(SS, Steam Supply
- 열원설비인 보일러가 공조기에 공급하는 증기
6) 온수
- 열원설비인 보일러가 공조기에 공급하는 따뜻한 물
7) 냉수
- 열원설비인 냉동기가 공조기에 공급하는 차가운 물
8) 가습기
- 공조기에서 공기 중의 습도를 제어해 주는 장치
9) CC(Cooling coil)
- 공기를 냉각시켜 주는 공조기 내부의 열교환 영역 중 하나
10) HC(Heating coil)
-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공조기 내부의 열교환 영역 중 하나
11) SF(Supply Fan)
- 실내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송풍기
12) RF(Return Fan)
- 실내의 공기를 공조기로 흡입시켜 주는 환풍기
13) AI(Analog Input)
- 아날로그 입력(연속적인 값으로 입력되는 신호)
- 온도, 습도 등의 크기 변화에 대한 값
14) AO(Analog Output)
- 아날로그 출력(연속적인 값으로 출력되는 신호)
- 대표적으로 밸브의 열리고 닫히는 정도
15) DI(Digital Input)
- 디지털 입력
- 어떤 스위치의 접점처럼 붙으면 1, 떨어지면 0에 해당하는 신호를 받아 들이는 것
16) DO(Digital Output)
- 디지털 출력
- 어떤 스위치의 접점이 붙으면 1, 떨어지면 0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
17) NC(Normal Close)
- 처음부터 닫힌 상태라는 의미
- 공조기에서 공기의 출입구인 댐퍼가 처음에 닫힌 상태여서 공기의 출입이 없음
18) NO(Normal Open)
- 처음부터 열린 상태라는 의미
- 공조기에서 공기의 출입구인 댐퍼가 처음에 열린 상태여서 공기가 계속적으로 출입하고 있음
19) T
- 온도센서
- 급기, 환기, 외기의 온도를 아날로그 값으로 표시
20) H
- 습도센서
- 급기, 환기, 외기의 습도를 아날로그 값으로 표시
21) B
- 연기감지기센서
- 화재가 있는지 없는지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입력시킴
22) M
- 모터(전동기)
- 댐퍼에 연결되어서 댐퍼가 열리고 닫히는 힘 공급
23) DF
- 차압 검출스위치
- 양쪽에 압력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0과 1의 디지털 신호 입력
- 압력 차이를 감지하기 때문에 필터의 차압이나 공기흐름을 검출하는 곳에 사용
24) 전기히터(EH)
- 쿨링코일과 가열코일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 히터
3. 자동제어 동작 프로세스
1) 온습도 센서의 역할
• 급기덕트 온·습도 센서
- 실내로 공급되는 온도 및 습도를 아날로그 값으로 검출
- 토출 공기의 상태 감시
• 환기덕트
- 온·습도 센서
-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아날로그 값으로 측정
- 냉방 또는 난방 밸브와 가습 밸브를 동작시키는 제어 기준
• 외기덕트 온·습도 센서
- 외부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아날로그 값으로 측정
- 특정한 상황 시 외부 공기를 공조기로 유입시킬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
2) 팬 가동
① 중앙제어반에서 급기팬 가동
② 시간지연(2초)
③ 외기댐퍼 모터 동작
④ 외기댐퍼 완전 개방
⑤ 환기팬 동작
⑥ 공기순환
3) 덕트 댐퍼 및 팬의 원활한 동작 상태 확인
• 공기흐름 검출기
- 급기덕트의 송풍기와 환기덕트의 환풍기 전후에서 동작
- 댐퍼 및 팬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검사
- 경보가 발생하면 다른 제어용 밸브들은 동작을 멈춤
4) 연기감지기 동작
• 화재 발생 시
- 연기감지기에 의하여 연기 감지
- 급기 및 환기팬을 바로 정지시킴
- 중앙감시반에 화재경보 신호를 보냄
5) 필터 이상 유무 확인
• 필터(프리필터 및 미디엄 필터)의 상태 제어
- 차압 검출스위치 부착
- 필터의 정격 압력과 비교
- 필터의 교환여부나 청소여부를 중앙감시반에 알림
6) 코일 동파 방지
• 동계 운전 시 공조기 코일의 동파 방지
- 코일 전단에 전기히터 설치
- 코일 전단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가동되고 그 상태를 중앙감시반에 전달
7) 댐퍼 제어
• 동계 난방 운전 시
- 초기 : 외기댐퍼와 배기댐퍼는 완전 폐쇄하고, 환기댐퍼는 완전 개방
- 이후 : 외기댐퍼를 최소한으로 개방하고 환기댐퍼는 외기댐퍼가 닫힌 비율의 반대 만큼 개방(연동제어)
• 하계 냉방 운전 시
- 초기 : 외기 및 배기댐퍼 완전 개방, 송풍기 가동
- 이후 : 외기댐퍼를 최소한으로 개방하고 환기댐퍼는 외기댐퍼가 닫힌 비율의 반대 만큼 개방(연동제어)
• 환절기 냉·난방 병행
- 환기덕트에 설치된 온·습도 검출기와 외기덕트에 설치된 온·습도 검출기에 의하여 엔탈피를 연산 비교
- 실내 엔탈피가 외기 엔탈피보다 높은 경우에는 외기에 의한 냉방
- 실내 엔탈피가 외기 엔탈피보다 낮은 경우에는 난방
8) 밸브 제어
• 냉방 밸브 제어
- 냉방 운전 시 환기덕트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하여 냉방밸브를 비례제어함으로써 실내온도 유지
- 공조기의 냉각코일에 유입되는 냉수 유량 제어
• 난방 밸브 제어
- 난방 운전 시 환기덕트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하여 난방밸브를 비례제어 함으로써 실내온도 유지
- 공조기의 온수코일에 유입되는 온수 유량 제어
• 스팀공급 밸브 제어
- 일반적으로 난방운전 시에만 운전
- 환기덕트에 설치된 습도센서에 의하여 실내의 습도 감지
- 스팀공급 밸브 On/Off 제어
9) 급기팬 정지 시 각종 제어기기의 상태
① 급기팬 정지 ② 환기팬 동작 정지 ③ 냉·난방 제어밸브 동작 정지 ④ 외기 및 배기댐퍼들 닫힌 상태
4. 자동제어 고려사항
1) 제어기 고려사항
• 동절기에 공조기 정지 시 외기가 유입되어 코일이 동파되는 것 방지
• 가습기 작동 시
- 덕트 내의 응축현상 예방
- 토출구에서 물방울이 튀지 않도록 예방
- 급기 습도 상한값 설정 및 관리
2) 중앙 (지역)감시반 중요 확인 사항
• 고급팬 가동·정지 및 운전상태 감시
• 환기팬 운전상태 감시
• 화재경보 감시
• 외기 온·습도 감시
• 환기 온·습도 감시
• 급기 온·습도 감시
• 혼합기 온도 감시
• 전기히터 운전상태 감시
• 필터 차압 감시
'반도체 > 반도체 장비 시설 운영 Part 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TEP 한국기술대학] 반도체 장비 시설 운영 Part 1. - (7) 클린룸 클린장치 (0) | 2024.06.23 |
---|---|
[STEP 한국기술대학] 반도체 장비 시설 운영 Part 1. - (6) 클린룸 에어필터 (0) | 2024.06.23 |
[STEP 한국기술대학] 반도체 장비 시설 운영 Part 1. - (4) 클린룸 공조기(AUH) (0) | 2024.06.23 |
[STEP 한국기술대학] 반도체 장비 시설 운영 Part 1. - (3) 클린룸 공조설비 (0) | 2024.06.23 |
[STEP 한국기술대학] 반도체 장비 시설 운영 Part 1. - (2) 클린룸 설비구조 (0) | 2024.06.23 |